전남도, 구제역 위기경보 ‘주의’로 하향
상태바
전남도, 구제역 위기경보 ‘주의’로 하향
  • 고영 기자
  • 승인 2019.02.25 14: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역상황실 3월까지 연장 운영 등 비상연락체계 유지

전라남도는 25일 구제역 위기경보가 ‘경계’에서 ‘주의’로 하향 조정하고, 방역상황실은 3월까지 한 달 연장 운영하면서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키로 했다고 밝혔다.

구제역 위기경보는 발생 상황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4단계로 운영된다.

구제역 위기경보 하향 조정은 지난 1월 31일 이후 추가 발생이 없고, 긴급 백신접종 후 3주가 지나 백신항체가 형성됐으며, 경기와 충북 발생 농장의 살처분․소독조치 완료 후 방역지역 내 정밀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데 따른 것이다.

전라남도는 지난달 28일 경기도 안성 젖소농가에서 구제역이 최초 발생한 이후 29일 인근지역 한우농가에서 2차 발생하자 구제역 위기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했다. ▲소․돼지 긴급 백신접종 ▲거점소독시설 전 시군 확대 ▲긴급방역비 12억 원 및 소독약품 10t 지원 ▲매일 소독 및 홍보 등 심각단계에 준하는 방역조치를 취했다.

전국 이동 제한이 해제되고 위기단계가 ‘주의’로 하향되더라도 구제역과 AI 특별방역대책기간을 3월 말까지 1개월 연장해 24시간 상황을 유지하고, 소독 등 차단방역을 계속 추진키로 했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 등 인접국가에서 구제역이 계속 발생하고 있고, 긴급 백신접종에 따른 항체형성 수준 확인을 위한 일제검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철새에 의한 AI 발생 위험 등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방역관리 유지가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용보 전라남도 동물방역과장은 “민․관․군이 한 뜻으로 차단방역을 추진해온 결과 구제역 청정지역을 지켜내고 AI 비발생 원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며 “3월까지는 구제역․AI 위험 시기이므로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백신접종․예찰․소독․농장 출입통제․발생국 여행 금지 등 방역조치를 철저히 해달라”고 말했다.

올해 구제역은 모두 소를 사육하는 3농가에서 발생했다. 경기 안성 2농가, 충북 충주 1농가에서 4일간 발생했다. 전남은 올해도 구제역 발생을 지켜내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발생사례가 없는 청정지역이다.

/고영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