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공공건축물 기획‧설계‧공사 칸막이 없앤다
상태바
광주시, 공공건축물 기획‧설계‧공사 칸막이 없앤다
  • 백대홍 기자
  • 승인 2024.06.03 1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축 기획부터 종합건설본부 참여해 전문 의견 개진
사업비‧공기 적정성 강화…잦은 설계변경 문제 개선
디자인 위주 설계 넘어 기능성 확대한 공모방식 도입

건축 기획부터 종합건설본부 참여해 전문 의견 개진
사업비‧공기 적정성 강화…잦은 설계변경 문제 개선
디자인 위주 설계 넘어 기능성 확대한 공모방식 도입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부서 간 협업체계를 강화해 공공건축물 건립의 건축기획부터 설계‧공사, 유지‧관리까지 종합개선 대책을 수립, 이달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나선다.

공공건축물은 시·자치구 등 공공기관이 예산을 투입해 건축하는 것으로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건축물을 말한다.

공공건축물의 건립 절차는 건축기획 단계, 설계·공사 단계, 유지관리 단계로 나눠진다. 건축기획은 입지 선정, 사업규모 및 사업비 결정, 발주방식 및 공간 구성 등에 관한 사항을 수립하는 것으로 사업을 주관하는 부서가 맡는다. 설계·시공은 건설업무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종합건설본부가, 유지관리는 공공건축물 건립 후 운영하는 기관이 담당한다.

광주시는 공공건축물의 심미성뿐만 아니라 기능성과 이용자의 편리성을 강화하기 위해 공공건축물 건립 종합개선 대책을 수립해 건축기획 단계부터 부서 간 협업체계를 강화한다.

광주시는 이를 통해 사업을 주관하는 부서의 건축기획 단계에서 종합건설본부가 참여하면 적정 사업비, 설계 및 공사 기간의 적정성, 발주 방식 등의 전문적인 의견을 반영할 수 있어 시공의 잦은 설계변경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설계비 1억 원 이상 공공건축물 건립의 설계공모 심사 방식을 개선해 기능성을 강화한다. 그동안 설계 공모 심사 방식인 토론을 통한 투표제에서 투표제와 채점제를 혼합한 방식으로 개선한다. 디자인 위주 설계가 아닌 기능성 부문의 배점을 적용한 채점제 추가에 따라 설계의 기능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건립사업 예산관리 방식도 강화한다. 공공건축물은 건축기획 수립부터 설계·시공까지 단계별 추진 시기에 따라 적정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광주시는 철저한 사업 관리를 통해 예산의 불용 방지와 충분한 설계 및 공사 기간 확보로 부실 설계를 방지할 계획이다.

박금화 건축경관과장은 “일상의 많은 부분이 공공건축물에서 이뤄진다”며 “이번에 시행하는 공공건축물 종합개선 대책으로 예술성이 높고 기능성 있는 공공건축물을 건립해 시민이 이용하기 편리한 공공건축물을 건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대홍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