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주요문화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다
상태바
목포시, 주요문화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다
  • 정소희 기자
  • 승인 2022.02.02 22: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 세관창고, 목포 맛 선보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
모자박물관(가칭)·대중음악의 전당(가칭), 근대 역사 스토리텔링
목포시, 주요문화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다.
목포시, 주요문화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다.

구 세관창고, 목포 맛 선보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
모자박물관(가칭)·대중음악의 전당(가칭), 근대 역사 스토리텔링

올해 목포시에 문화시설이 연달아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해가 자전거터미널, 리틀야구장, 부주산 반려동물놀이터, 유달산목재문화체험장 등 생활편의시설이 대거 확충된 기간이었다면 올해는 ‘문화도시’로서의 면모를 높일 문화시설들이 문을 연다.

구 목포세관창고 복합문화공간(가칭), 모자박물관(가칭), 목포대중음악의 전당(가칭), 등 올해 첫 선을 보일 문화시설들은 목포의 근대 역사가 응축된 원도심에 위치한다는 점과 역사성이 있는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활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근대역사문화공간과 가까우며, 목포여객선터미널 앞에 위치한 구 목포세관창고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다.

목포세관은 지난 1897년 10월 1일 목포 개항과 동시에 해관(海關)이라는 명칭으로 관세업무를 시작했으며 1907년 세관(稅關)으로 개칭한 뒤 1908년 목포진에서 현재 위치(항동 6-33)로 이전했다. 이후 1967년 삼학도 이전 전까지 관세업무를 수행했다.

시는 구)목포세관(국가등록문화재)의 본관 터는 존치하고 큰창고(661.16㎡)와 작은창고(330.58㎡)를 리모델링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 큰창고는 청년외식창업교육, 9미 푸드스타일링, 키즈쿠킹클래스, 푸드 토크쇼 등 목포의 다양한 맛을 체험할 수 있는 푸드랩과 9미를 활용한 음식 및 주전부리 3종 세트를 판매하는 스몰푸드존으로 구성된다. 작은창고는 구)목포세관의 역사를 전시하는 세관역사관과 서남해 관광 정보와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스마트관광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시는 오는 3월 준공한 뒤 4월 중 개관 기념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근대역사문화공간에 위치한 모자박물관은 1897 개항문화거리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갑자옥 모자점’건물을 활용한다. 갑자옥 모자점은 지난 1927년 개업 당시 원도심 중심부에 자리잡은 유일한 조선인 가게로 2020년 초반까지 100년 가량 운영돼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공간이다.

시는 작년 5월부터 11월까지 건물 보수정비 공사를 실시해 하드웨어적 준비를 마무리하고 ‘전시설계 및 전시물 제작·설치’용역을 진행하며 전시·체험·판매 등 컨텐츠의 윤곽을 구체화해가고 있다. 시는 운영계획 수립, 조례 제정 등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7월 개관할 예정이다.

근대역사문화공간에는 대중음악의 전당도 들어서는데 구)호남은행 목포지점 건물에 문을 연다. 구)호남은행 목포지점은 지난 1926년 호남 인사들이 설립한 순수 민족 자본 은행으로 목포에 현존하는 유일한 근대 금융계 건물이다.

시는 지난 2020년 건물을 매입하고,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대중음악의 전당을 조성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후 시는 지난해 12월 원형 복원 공사를 마무리했고 현재는 4월 개관을 목표로 전시물 제작·설치 중이다.

시는 건물의 역사·건축적 특성을 부각하는 것과 함께 ‘목포의 눈물’ 이난영(1916~1965), 우리나라 최초의 걸그룹 김시스터즈, 작곡가 손석우(1920~2019) 등이 활동하며 문화예술이 발전했던 목포의 근대 음악을 스토리텔링해 목포 대중음악 관련 기획전시공간으로 활용하는데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역사성이 있는 건물을 훼손하지 않고 목포의 매력과 가치를 높이는 문화시설로 활용해가고 있다. 새롭게 확충될 시설들이 문화도시, 관광거점도시로서의 면모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소희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